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학, 이립, 불혹, 지천명, 환갑 나이대별 한자어 뜻

by 자수성가하자 2022. 4. 1.
반응형

충년 지학 묘령 이립 불혹 지천명 이순 환갑 고희 망구 백수 상수 천수 이런 단어들은 나이에 따라 부르는 한자어 입니다. 그 한자들의 뜻을 보면 나이에 맞는 단어들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지학, 이립, 불혹, 지천명, 환갑 나이대별 한자어 알아보기

공자(孔子)의 논어(論語) 위정(爲政) 편에 이런 내용이 있습니다.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三十而立하고 四十而不惑하고 五十而知天命하고

자왈 오십유오이지우학하고 삼십이립하고 사십이불혹하고 오십이지천명하고

六十而耳順하고 七十而從心所欲호되 不 踰矩호라

육십이이순하고 칠십이종심소욕호되 불 유구호라。

"
나는 열 다섯에 배움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이 되어서는 이루어서 지켰고,
사십 세가 되어서는 사물의 당연한 이치에 대해서 의혹하지 않았으며,
오십 세가 되어서는 사물의 당연한 까닭을 알게 되었고,
육십세가 되어서는 귀로 그 말을 들으면 그 은미한 뜻을 알게 되었고,
칠십세가 되어서는 마음이 바라는 것을 따라 행하여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
반응형

 

나이별 한자어와 그 뜻

◈ 충년(沖年) 
 10
, 열 살 안팎의 어린 나이를 말할 때 쓰인다.

 

◈ 지학(志學) 
 논어·위정편(爲政篇) '(十有五而志干學)'에서 유래하여, 열다섯 살이 된 나이를 뜻하는 말이다

 

 

◈ 묘령(妙齡) : 20살 안쪽의 젊은 나이를 말한다.

  방년(芳年) : 여자의 스무 살 안팎의 꽃다운 나이를 말할 때 방년이라고 부른다.
  약관(弱冠) : 남자의 스무 살. 또는, 스무 살 전후를 이르는 말이다.

이립(而立)
 논어의 '三十而立'에서 온 말로, 모든 기초를 세우는 나이 '서른 살'을 이르는 말. 

불혹(不惑)
 공자가 40세에 이르러 세상일에 미혹되지 아니하였다는데서 사물의 이치를 터득하고 세상 일에 흔들 리지 않을 나이 '마흔 살'을 이르는 말로 흔히 쓰인다. 불혹의 나이가 멀지 않으셨네요.
어릴때 불혹의 나이라고 하면 어떤 유혹에도 혹하지 않는다해서 불혹인가? 이런 생각을 했던 적이 있다. 

 지천명(知天命)
나이 50세를 일컫는 말로 하늘의 뜻을 알게되는 나이를 뜻한다.
사물이나 일련의 일들을 보면 그 일들이 일어나는 것들에 대한 당연한 까닭을 깨우치는 나이이다.
 

 육순(六旬)
 이순(耳順)

 나이 60세 예순을 이르는 말로 듣는대로 이해 할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육순이라고도 하고 이순이라고도 하는데 이순은 귀 이자에 순할 순자로 인생에 경륜이 쌓이고
 사려와 판단이 쌓여서 남의 말을 받아들인다는 뜻이기도하다

 

◈ 환갑(還甲)
◈ 회갑(回甲)
 육십갑자의 갑(甲)이 되돌아 오는 나이로 61세를 말한다. 만 나이로 60세가 되면 환갑 회갑이라고 부르는데 예전에는 환갑잔치, 회갑연으로 잔치를 하고는 했다. 요즘은 평균 수명이 80세에 이르러서
환갑의 나이가 크게 와닿지 않지만 평균수명이 60대 초중반인 시절에는 환갑의 나이까지 살아계신것을 축하하며 잔치를 베풀고 파티를 열었다. 
 


칠순(七旬)
 고희(古稀)
 70세를 말한다 오히려 요즘은 예전의 환갑 회갑잔치를 칠순잔치로 하는것 같기도하다. 평균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칠순에는 이르러야 노인이라 부르기도 한다. 고희연이라하면 칠순잔치이다.
 

망구(望九)
 81세를 말하며 90세를 바라보는 나이라는 의미이다.
 어릴때 할아버지들께서 할머니를 낮추어 말할때 할망구 할망구 하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무언가 어감이 비속어 같기도 해서 오래 살아오시면서 편해지시니 저렇게 부르는 건가? 라는 생각을 했던적이 있다. 그 뜻을 보니 할망구의 참 뜻을 알게된 것 같다.

 

백수(白壽)
99세를 말하며 한자 백(百)에서 일(一)을 빼면 백(白)이 된다는데서아흔아홉 살을 이르는 말이다.

 

상수(上壽)
100세를 말하며 사람의 수명을 상(上) 중(中) 하(下)로 나누어 볼 때 최상의 수명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천수(天壽)
120세를 말하며 하늘이 준 수명이라는 뜻에서 타고난 수명으로 부르기도 한다
천수를 누린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면 하늘이 인간에게 준 나이를 모두 누린다는 의미이기도하다
욕심이기는 하지만 천수까지 살아보고 싶은 마음이 있다. 

하늘이 준 나이는 내가 살고 싶다고 살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살아있는 동안은
건강을 지키며 최선을 다해 살아보아야겠다

반응형

그 외에 쓰이는 나이대별 한자어들이다.

망오(望五)는 41세를 말한다.

상수(桑壽)는 48()자를 십()이 네 개와 팔()이 하나인 글자로 48세로 본다.

망륙(望六)은 51세를 말한다.

진갑(進甲) 62세 환갑의 이듬해란 뜻으로 예순두 살을 이르는 말로 환갑보다 한 해 더 나아간 해라는 뜻이다

종심(從心)도 70세를 말한다.
공자가 70세가 되어 종심소욕(從心所欲 : 마음이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았으되) 불유구(不踰矩 : 법도에 어긋나지 않다) 하였다고 한데서 유래하여 '일흔 살'을 이르는 말. 출전<논어(論語)>

희수(喜壽)는 77세를 말한다.

팔순(八旬) 산수(傘壽) 모두 80세를 말한다.

반수(半壽)는 81세를 말한다.

미수(米壽)는 88세를 말한다. 

졸수(卒壽)는 90세를 말한다.

망백(望百)는 91세를 말한다.
81세의 망구와 비슷한 의미로
 91세가 되면 백살까지 살 것을 바라본다 하여 망백

 

공자는 기원전 551년에서 기원전 479년에 고대 중국의 춘추시대의 정치가이자 사상가이고 교육자입니다.
노나라의 문신이자 작가이면서 시인이기도 한 참 다양한 분류에 분류되는 유교의 시조라고 알려져 있는
공자의 논어에서 비롯된 말로 지학, 이립, 불혹, 지천명과 같이 그 나이에 불리우는 한자어들이 입니다.

요즘은 한자보다는 영어나 타국어에 더 관심이 많기도 하고 글자보다는 영상물에 관심을 더 많이 가지고 있고
한자어보다는 줄임말과 같은 신조어들이 많이 사용되는 시대이지만 그럼에도 한자어에 담긴 그 뜻들을 음미해보면
참 생각이 깊어지는 것 같기도 합니다.

유퀴즈에서도 박희순 씨를 지천명 아이돌이라고 부르면서 50세에 아이돌(젊은 청년층에게 인기를 얻는 연예인)이라 불리우는 것을 보면서 나이가 들어도 열심히 살아가면 그 인생이 참 멋진것 같다는 생각을 해본다.

 
 

마지막으로 가장어린 나이인 돌은 한 돌을 맞았다. 두 돌을 잡았다. 세 돌이 된다 할때 아이의 나이를 표시하는 말로

 : 1살이 되는 첫생일(첫돌 혹은 돌)이라고 말한다.
한자로는 돌을 초도일(初度日)·수(晬)·수일(晬日) 등으로 표기한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돌)]

우리가 아이가 태어나서 처음 맞는 생일에 돌잔치를 하는데 이 때 돌이라는 말이 의미하는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