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Gunicorn으로 Django를 실행하는 이유

by 자수성가하자 2025. 3. 18.
반응형

🔹 Gunicorn으로 Django를 실행하는 이유

Django 프로젝트를 운영 환경(Production)에서 배포할 때, Gunicorn을 사용하면 성능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Gunicorn을 사용하는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운영 환경에서 Django의 기본 개발 서버(runserver)는 적합하지 않음

Django의 기본 개발 서버(python manage.py runserver)는 개발용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 운영 환경(Production)에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단일 스레드로 동작 → 동시 요청을 잘 처리하지 못함
  • 자동 리로드 기능이 있어 메모리 낭비가 발생할 수 있음
  • 보안 취약점이 있을 가능성이 높음

따라서 운영 환경에서는 Gunicorn 같은 WSGI 서버가 필요합니다.


2. Gunicorn은 WSGI(Web Server Gateway Interface) 서버이다

Gunicorn(Green Unicorn)은 WSGI 서버로, Django와 같은 Python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Gunicorn이 하는 역할

  1. 클라이언트(사용자) → 웹 서버(Nginx) → Gunicorn → Django
  2. Gunicorn이 Django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요청을 처리
  3. WSGI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Django의 응답을 웹 서버(Nginx)로 전달

즉, Gunicorn은 Django와 Nginx(Apache) 사이에서 작동하는 미들웨어 역할을 합니다.


3. Gunicorn을 사용하면 Django가 동시 요청을 더 잘 처리

Gunicorn은 멀티 프로세스(multiprocessing) 방식을 사용하여 여러 개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 runserver (기본 개발 서버)와 비교

서버 동시 요청 처리 운영 환경 적합성 성능 최적화 가능 여부

runserver ❌ (싱글 스레드, 개발용) ❌ (운영 환경 부적합)
Gunicorn ✅ (멀티 프로세스 지원) ✅ (운영 환경 추천) ✅ (Worker 개수 조정 가능)

Gunicorn은 여러 개의 Worker를 실행하여 요청을 병렬로 처리하므로 성능이 향상됩니다.
예를 들어, workers=4로 설정하면 4개의 요청을 동시에 처리 가능합니다.


4. Nginx와 함께 사용하여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처리

Gunicorn은 단독으로 실행할 수도 있지만, Nginx와 함께 사용하면 더욱 안정적입니다.

💡 Gunicorn + Nginx 구조

사용자 → Nginx(정적 파일 처리) → Gunicorn(WSGI 요청 처리) → Django

Gunicorn이 Django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요청을 처리
Nginx가 정적 파일(css, js, images)을 빠르게 제공
Nginx가 요청을 Gunicorn에 전달하고, 결과를 사용자에게 반환

👉 결과: 속도가 빨라지고,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음.


5. Gunicorn은 간단하고 설정이 쉬움

Gunicorn을 실행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 Gunicorn 설치

pip install gunicorn

📌 Gunicorn으로 Django 실행

gunicorn --workers 4 --bind 0.0.0.0:8000 myproject.wsgi:application
  • --workers 4 → 4개의 Worker 프로세스 실행
  • --bind 0.0.0.0:8000 → 모든 IP에서 8000번 포트로 요청 받음
  • myproject.wsgi:application → Django 프로젝트의 WSGI 애플리케이션 실행

🚀 Gunicorn을 systemd로 등록하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할 수도 있음.


6. Gunicorn은 성능 튜닝이 가능함

Gunicorn은 다양한 옵션을 제공하여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Worker 개수 조정 (--workers)

gunicorn --workers 4 myproject.wsgi:application

💡 일반적으로 CPU 코어 수 × 2 + 1 개수 추천
예: 4코어 CPU → workers=9 설정

🔹 Timeout 설정 (--timeout)

gunicorn --timeout 30 myproject.wsgi:application

💡 요청이 너무 오래 걸리는 경우 Gunicorn이 자동으로 종료

🔹 Django를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daemon)

gunicorn --daemon --workers 4 myproject.wsgi:application

💡 Gunicorn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하고 서버가 종료되지 않도록 유지


🚀 결론

Gunicorn을 사용하는 이유
1️⃣ Django의 기본 개발 서버(runserver)는 운영 환경에서 적합하지 않음
2️⃣ Gunicorn은 WSGI 서버로, Django 애플리케이션을 안정적으로 실행할 수 있음
3️⃣ 멀티 프로세스 지원으로 동시에 많은 요청을 처리 가능
4️⃣ Nginx와 함께 사용하면 성능과 보안이 향상됨
5️⃣ 설정이 간단하고 성능 최적화가 가능함

💡 운영 환경에서는 runserver 대신 Gunicorn + Nginx 조합을 강력 추천합니다! 🚀

반응형